퀴즈는 총 10문항이며 60점(6문항)이상 맞추셔야 평점이 부여됩니다.
퀴즈는 금일(6월 30일) 24시까지 가능합니다.
1. 다음 중 나머지 약제와 성격이 다른 한 가지 약제는?




2. 다음 중 non-steroidial MRA인 Finerenone의 국내 급여 기준은 (spot urine albumin/Creatinine 기준)?




3. 경구혈당강하제 중, 지방조직 및 근육에서 인슐린의 민감성을 개선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하는 약제는 무엇인가? 이 약제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뇌졸중 예방효과를 보이는 장점이 있으며, 부작용으로는 체중증가가 있다.





4. 연속혈당측정(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환자와 의료진의 이점은?





5. 연속혈당측정(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에서 혈당변동성(CV, %)의 목표치는?





6. 연속혈당측정(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에서 얻을 수 있는 지표 중 혈당조절의 목표로서 당뇨병 만성합병증 발생 등과 연관이 있는 것은?





7. 45세 남자가 다음, 다뇨로 내원하였고, 최근 2달 사이 체중이 5kg 감소했다고 한다. 혈액검사 시행한 결과 glucose 250mg/dL, 당화혈색소 12.5%로 확인되었다. 가장 적절한 치료는?





8. 국내에서 장기 사용이 승인된 비만 치료제가 아닌 것은?





9. 다음 중 가장 흔한 당뇨병 신경병증의 임상양상은?





10. 다음 중 당뇨병 환자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교육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제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