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심포지엄 가이드
로그인
심포지엄 가이드
퀴즈는 총 10문항이며 60점(6문항)이상 맞추셔야 평점이 부여됩니다.
퀴즈는 금일(6월 30일) 24시까지 가능합니다.
1. 다음 중 나머지 약제와 성격이 다른 한 가지 약제는?
Insulin U-300
Degludec
NPH
IGlarLixi
2. 다음 중 non-steroidial MRA인 Finerenone의 국내 급여 기준은 (spot urine albumin/Creatinine 기준)?
30 mg/g 이상
300 mg/g 이상
500 mg/g 이상
1000 mg/g 이상
3. 경구혈당강하제 중, 지방조직 및 근육에서 인슐린의 민감성을 개선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하는 약제는 무엇인가? 이 약제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뇌졸중 예방효과를 보이는 장점이 있으며, 부작용으로는 체중증가가 있다.
Sulfonylurea
Alpha-glucosidase inhibitors
DPP-4 inhibitors
Thiazolidinediones
SGLT2 inhibitors
4. 연속혈당측정(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환자와 의료진의 이점은?
생활습관개선
혈당 조절 개선
저혈당위험 감소
삶의 질 개선
모두 해당
5. 연속혈당측정(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에서 혈당변동성(CV, %)의 목표치는?
<12
< 24
< 36
< 48
< 54
6. 연속혈당측정(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에서 얻을 수 있는 지표 중 혈당조절의 목표로서 당뇨병 만성합병증 발생 등과 연관이 있는 것은?
범위내시간(time in range, TIR)
혈당변동(glucose variability, CV)
범위초과시간(time above range, TAR),
범위미만시간(time below range, TBR)
평균혈당(mean glucose)
7. 45세 남자가 다음, 다뇨로 내원하였고, 최근 2달 사이 체중이 5kg 감소했다고 한다. 혈액검사 시행한 결과 glucose 250mg/dL, 당화혈색소 12.5%로 확인되었다. 가장 적절한 치료는?
SGLT2 inhibitor
DPP4 inhibitor
TZD
Insulin
Sulfonylurea
8. 국내에서 장기 사용이 승인된 비만 치료제가 아닌 것은?
Orlistat
Lorcaserin
Naltrexone-bupropion
Phentermine-topiramate
답 없음
9. 다음 중 가장 흔한 당뇨병 신경병증의 임상양상은?
Autonomic neuropathy
Mononeuropathy
Brachial plexopathy
Thoracic radiculopathy
Distal symmetric polyneuropathy
10. 다음 중 당뇨병 환자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교육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건강기능식품은 질병 치료 효과가 없으므로, 당뇨병 약제를 잘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꼭 설명한다.
건강보조식품보다는 건강식품의 형태로 골고루 섭취하도록 한다.
건강기능식품은 대부분 혈당을 악화시키므로 절대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게 되면 혈당, 신기능, 간기능 등의 악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도록 한다.
식약처에서 기능성을 인정받은 성분으로, 인증받은 업체에서 생산한 제품을 선택하도록 한다.
제출하기